부동산/부동산 기본기

부동산통계보는법, KB부동산 한국부동산원 차이

backpackers 2023. 4. 24. 15:33
반응형

우리가 뉴스에서 부동산 시장 뉴스를 흔히 접할 수 있다.

지난 대비 얼만큼 하락, 소폭반등 등 시황에 맞게 뉴스를 볼 수있는데, 그럼 이러한 부동산 통계자료는 어디서 확인할까?

 

https://economist.co.kr/article/view/ecn202304200016

 

서울 집값, ‘찐반등’일까…“바닥 다지는 신호”

서울 주택 거래량이 늘고 낙폭도 줄어들면서 서울 부동산 시장이 상승세로 돌아설지, 일시적 반등에 그치면서 다시 하락폭이 커질지 부동산업계의 관

economist.co.kr

가장 대표적인 곳이 KB부동산과 한국부동산원 두 곳의 통계가 있다.

각각 아래 홈페이지에서 데이터 확인이 가능하다.

 

  • KB부동산

https://data.kbland.kr/

 

[KB부동산 데이터허브]

KB가 만든 부동산 데이터 플랫폼

data.kbland.kr

  • 한국부동산원

https://www.reb.or.kr/r-one/main.do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부동산 통계, 지가, 월세, 전세, 매매 가격 동향 안내.

www.reb.or.kr

 

그렇지만, 아래기사와 같이 우리는 두개 통계의 차이에 시장참여자로써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과연 어떤게 맞는걸까? 진짜 하락인가? 진짜 반등인가?

 

http://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247657 

 

한국부동산원-KB국민, 주택 시세 분석 또 엇갈려···왜? - 시사저널e - 온라인 저널리즘의 미래

[시사저널e=노경은 기자] 주택시장 시황 분석으로 양대산맥을 이루는 한국부동산원과 KB국민은행이 지난주 집값 상승률을 둘러싸고 판이한 결과를 내놓았다. 공공기관인 부동산원은 그간의 추

www.sisajournal-e.com

 

실제로 '23년 4월 3주차 통계로만 봐도 두개의 차이가 있다.

 

KB부동산 4월3주차 통계
한국부동산원 4월3주차 통계

 

 

한창 부동산 상승기때는 한국부동산원에 증가율과 다르게 KB부동산은 매매가격 증가율이 훨씬 컸다.

실제 매수자입장에서도 부동산에 가면 "그 가격엔 안판다" 혹은 현장에서 가격을 올리는 경우도 허다했다.

 

이러한 간극이 발생하는 이유에는 통계 집계방식의 차이가 있다.

한국감정원은 현재 한국부동산원이다.

 

가장 큰 차이는 KB부동산은 중개업소가 입력하는 거래가능한가격

한국부동산원은 실거래가를 바탕으로 한다

 

따라서 실제 집을 구하는 입장에서 생각해보자

 

상승기때는 매수자가 부동산에 가면 현장에서 매도자가 호가를 더 높게 부를것이다.

한 집을 두고 매수경쟁도 많아짐에 따라 매도자는 가격을 더 올릴 것이다.

 

하락기때는 매수자가 부동산에 가면 현장에선 매도자는 매수자의 네고를 어느정도 받아들일것이다.

또한, 매수자가 여러 집 두고 선택을 할 수 있는 환경이 된다.

 

KB부동산은 리얼타임으로 반영된다면, 한국부동산원은 실거래등재된 이후에 반영으로 어느정도 텀이 발생할 수있다.

그렇다고 항상 모든 케이스에서 맞는건 아니지만 ,

 

개인적인 의견에서는 상승장에선 KB시세, 하락장에선 한국부동산원 통계가 더욱 신뢰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