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주식 기본기

주식 기본기1 - PER, PBR, PSR, POR, PCR 정리

backpackers 2022. 6. 6. 16:12
반응형
PER(Price to Earnings Ratio, 주가수익률)

 - 주가/EPS = 시가총액 / 지배주주순이익

 

※ EPS : 주당순이익 = 순이익 / 발행주식수

 

멀티플로 활용가능, 낮을수록 저평가라고 하지만 항상 정답은 아니다.

 

PBR(Price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

- 주가/BPS = 시가총액/순자산(자본총액)

 

※ BPS : 주당순자산 = 순자산 / 발행주식수

 

PBR이 1이면 시가총액 = 순자산

 

시설투자등으로 자산이 많이 늘어서 PBR이 낮아진 회사는

향후 업황이 좋으면 자산을 활용해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PSR(Price Selling Ratio, 주가매출액비율)

- 주가/SPS = 시가총액/매출액

 

※ SPS : 주당매출액 = 매출액 / 발행주식수

 

PSR이 높고, 영업이익률 개선가능성이 크면 성장의 폭이 커질 수 있다.

 

POR(Price to Operation-income Ratio, 주가영업이익비율)

- 주가/OPS = 시가총액/영업이익

 

※ OPS : 주당영업이익 = 영업이익 / 발행주식수

 

순이익의 경우, 일회성비용도 포함되기때문에

실제 영업이익을 갖고 평가하는 것도 한가지 방법

EBITDA에선 영업이익을 활용한다.

 

PCR(Price Cash Flow Ratio,주가현금흐름비율)

- 주가/CPS = 시가총액/영업현금흐름

 

※ CPS : 주당영업이익 = 영업현금흐름 / 발행주식수

 

실제로 성장주의 경우 이익이 아닌

영업현금흐름이 턴하는 시점에서

주가 상승이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증설 및 감가상각비소모 원인) = PCR이 높았다가 낮아지는 기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