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분석을 분석하고 어떤 회사에 투자하려면 그 기업이 성장해야 투자의 대상이 된다.
그럼 성장하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다음 그래프를 보면
결국 주가상승은 이익의 상승과 귀결된다
그럼 이익은 어떻게 나올까?
이익 = P X Q - C = 판매가격 X 판매량 - 비용
그럼 이제 항목별로 살펴보자
1. P, 판매가격
제품 1개당 판매가격을 의미한다
여기서 가격을 컨트롤 할 수 있는 기업이 더욱 메리트있다.
독점이거나 소비자입장에서 대체재가 없을 경우
가격전가가 가능하다.
C보다 P를 더 올릴 수 있으면 좋다
그러나 P를 올릴 수 있는 기업은 드물다
2. Q, 판매량
수요라고 말할 수 있다
수요는 트랜드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ex) 전기차 수요증가
또는 판매처가 확장될 경우 판매량이 늘어날 수 있다
성장산업의 경우 Q의 증가가 키포인트다
그러나, 수요가 늘면 경쟁사가 생겨서
P가 하락할 경우도 있으니 주의해야한다
3. C, 비용
비용은 제품을 팔기위해서 발생하는 비용을 말한다
고정비와 변동비 두가지로 나뉜다
1) 고정비 - 생산과 관계없는 비용
인건비, 임대비용 등..
2) 변동비 - 생산과 관계있는 비용
제품의 원재료
ex) 인플레이션으로 철강가격증가, 곡물가격증가
일반적으로 고정비가 크게 증가하는 경우는 드물다
변동비가 이익기여에 더크다 변동비= 변동비율 x 매출
이익 = 매출 - (고정비+변동비)
=매출 - (고정비+ 변동비율 x 매출)
=(1-변동비율) x 매출 - 고정비
(1-변동비율)을 공헌이익률이라고 한다
결국 이익이 증가하려면 P와 Q는 증가하면서 C가 줄어든 기업을 찾아야 한다.
그러나, 이상적인 경우는 극히드물다.
각 요소별로 변동률을 확인해서 이익상승이 커질 기업에 투자해야한다
이전에 효성티앤씨분석할때 제품판가와 원재료비용에 대한 내용이 적혀있으니 참고하면 좋다.
https://backpackers.tistory.com/12
효성티앤씨(298020)- 다가온 엔데믹, 다가올 반등
섬유산업과 무역산업을 영위하는 회사 실적리뷰 매출액 : 23,408억(예상치:22,507억) 영업이익 : 1,901억(예상치:2,740억) 순이익 : 1,054억(예상치:1,764억) -> 스판덱스의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실적하락
backpackers.tistory.com
Q의 증가는 솔루스첨단소재와 같이 2차전지 산업이 적절한 예시이다.
https://backpackers.tistory.com/4
솔루스첨단소재(336370) - 전지박으로 전진
2차전지 핵심부품인 동박과 전지박사업을 영위하는 회사 전지박이란? 충전 후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2차전지의 음극부분에 씌우는얇은 구리막 전자가 이동하는 경로 배터리에서 발생한 열을
backpackers.tistory.com
'주식 > 주식 기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기본기5 - 매출채권, 매입채무, 대손상각비, 대손충당금, 분식회계 (0) | 2022.06.11 |
---|---|
주식 기본기4 - 매출원가와 제조원가, 재고자산, 상품, 제품, 재공품 (0) | 2022.06.07 |
주식 기본기3 - EV/EBITDA, CAPEX, 감가상각비 (0) | 2022.06.07 |
주식 기본기1 - PER, PBR, PSR, POR, PCR 정리 (0) | 2022.06.06 |
주식투자에 도움되는 사이트 정리 (0) | 2022.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