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제마진은 정유사에 투자할때 꼭 알아야 하는 지식이다.
정제마진의 정의
국내 정유 업계들이 원유를 수입하여 정제하고 생산하는 석유제품을 판매하는 과정에서 남은 이익으로 정의 할 수 있다.
다시말해, 정유사들은 원재료인 원유를 비용을 지불하고 수입한다. 그이후 정제과정을 통해 아스팔트, 중유, 경유, 등유, 항공유, 나프타, 휘발유, LPG로 분리된다.
이렇게 정제되어 생산된 제품의 판매수익에서 원유 수입비용과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정제시설 운영비용, 운반비용 기타 등을 차감하고 남은 이익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정제마진의 의미는 정유사의 수익성을 나타낸다.
정제마진이 오르면 정유사의 실적은 상승할것으로 예상되며,
반대로, 정제마진이 떨어지면 실적이 하락할것으로 예상된다.
국제유가 상승의 원인에는 감산 및 전쟁등 외부요인도 많이 작용하지만
최근과 같이 국제유가가 상승한다는 것은 '수요>공급'이라고 인식하므로,
정제마진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정제마진의 래깅효과(Lagging)
통상적으로 원유를 수입하는데에는 약1~2개월의 기간이 소요된다.
이 기간동안 국제유가가 상승하면 정유사들은 생산한 제품가격을 올려서 팔게 된다.
이렇게 제품가격이 상승으로 인해 마진이 커지면 이를 '래깅효과'라고 하며, 재고자산평가에서 이익이 발생한다.
(원재료비용 고정, 제품판매가상승)
반대의 경우도 존재한다.
원유를 비싸게 수입했지만, 수입하는 기간동안 국제유가가 하락해서 제품가격이 떨어지면 정유사입장에서는
손해를 볼 수 있다.
※스팟(SPOT)가격 : 레포트에서 간간히 보이는 스팟가격은 현시점의 가격이라고 인식하면된다.
정제마진을 확인하는 방법
정제마진을 정확하게 보기위해선 싱가포르 복합정제마진 추이를 보면 된다.
그러나, 이 데이터를 보려면 유료플랫폼을 활용해야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이와 유사하게 Neste Reference Margin을 참조하거나 석유화학섹터의 레포트를 참조하면 편리하다.
https://www.neste.com/investors/market-data/oil-product-margins#3a500505
Oil product margins
Daily figure on Neste's oil product margins is based on last five (5) days rolling average.
www.neste.com
'주식 > 주식 기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설의레포트] 투자의정석_헤게모니에 투자하라_동부증권 (0) | 2023.04.24 |
---|---|
공매도 뜻, 유형, 장단점, 공매도과열종목지정 (7) | 2023.04.23 |
Fear & Greed Index 공포-탐욕지수 정의 및 구성지표 (0) | 2023.04.23 |
주식기본기7 - 재무제표의 분석 (0) | 2022.06.16 |
주식 기본기6 - 재무제표의 이해 (1) | 2022.06.15 |